이 책은 박정희 독재정권이 통치하던 1970년대를 관통하며 살아온 저자의 자서전적 기록이다. 제주도가 고향이었던 저자는 이른바 명문대에 입학했다는 자부심을 지니고 서울에 도착했지만, 당시 대학의 상황은 엄혹하기 그지 없었다. 자유로운 의사 표시가 불가능했던 것은 물론, 대학 캠퍼스 안에 경찰이 오가면서 감시를 하던 시대였던 것이다. 막걸리를 마시면서 현실에 대해 조금만 불만을 표하더라도 공권력에 의해 끌려가던, 이른바 ‘막걸리 국보법’으로 회자되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잘못된 것을 올바르게 고쳐보려던 움직임조차 대통령 한마디로 정해진 ‘긴급조치’에 의해 통제를 하였다. 그러한 시대를 살아온 저자는 자신의 삶에 큰 영향을 끼쳤던 <영초언니>를 생각하면서, 자전적인 이야기를 풀어나가고 있다. 저자는 지금은 고향인 제주도에 정착해서, 자신이 처음 시작했던 제주 올레길에 관한 활동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이미 우리 사회는 당시와는 전혀 다른 환경에 놓여있다. 오히려 사상의 자유가 넘쳐 흘러, 그로 인한 부작용이 초래되기도 하는 시대이다. 그 시대를 살아오면서 직접 겪지는 않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당시의 엄혹한 독재 치하의 상황을 생각하면서 문득문득 감정이 격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지금 정치권을 비롯한 사회 곳곳에서는 이른바 ‘386 세대’에 대한 비판이 거세지고 있지만, 그 비판의 대상이 되는 기득권을 누리고 있는 일부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그보다 한 세대가 앞서지만, 저자와 같은 이들은 오히려 그 시대의 문제 의식을 유지하면서 ‘더불어 살아가기’를 실천하고 있다. 개인적으로 저자와 ‘영초언니’로 지칭되는 천영초는 나에게는 대학의 선배이다. 그리고 채 10년이 되지 않은 시간이 지난 후에, 저자와 같은 공간에서 대학신문의 기자를 했던 인연을 가지고 있다. 아마 대학 시절이나 졸업 후에 여러 번 마주쳤을 것이지만, 두 사람과의 특별한 기억이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의례적인 자리에서 인사를 나누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 짐작된다. 여러 해 전에 저자가 제주 올레길에 대학 선후배들을 초청했었는데, 나는 다른 일정과 겹쳐 그 행사에참석하지 못했었다. 아마도 이 책이 나온 직후, 두 사람을 기억한 동문 누군가가 제안하여 이루어진 것이었을 것이다. 책을 읽고 나서, 당시 참여하지 못했던 것이 아쉽게 느껴지기도 했다. 당시를 겪지 않았던 사람들에게는 아주 생소한 ‘역사의 기록’처럼 느껴지겠지만, 이 책의 내용은 그 시대를 함께 살아왔던 이들에게는 생생한 ‘현실의 기록’으로 다가올 것이라 생각된다. 이 책에 등장하는 많은 이들은 지금도 곳곳에서 활동하고 있기에, 당시 그들의 행적과 지금의 언행들을 잠시나마 비교해 볼 수도 있었다. 적지 않은 시간이 지났음에도 이 책에는 저자가 느꼈을 당시의 분노와 좌절감 등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다. 그만큼 저자가 겪었던 ‘현실의 기록’이 생생하게 각인된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엄혹한 시기 우여곡절을 겪은 삶을 살면서, 끝내 큰 사고로 인해 ‘어린아이의 상태’로 돌아간 ‘영초언니’의 삶이 평안하기를 빌어본다.(차니)
그때 우리는 두려움 속에서 비틀거리며 불의한 권력과 맞장떴다!
내 청춘을 관통한, 지워지지 않는 이름… 천영초
[시사저널][오마이뉴스] 편집장을 지낸 언론인이자, 대한민국에 제주 올레길 열풍을 일으킨 서명숙 제주올레 이사장이 오랫동안 묻어두었던 이야기를 꺼낸다.
1970년대 말, 한반도의 끝자락 제주에서 서울로 올라와 대학생활을 하던 여대생 서명숙은 돌연 감옥에 갇힌다. ‘천영초’라는 여인과 함께. 이 책은 박정희 유신정권 시절, 저자뿐만 아니라 당시 긴급조치 세대 대학생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 실존인물 ‘천영초’에 대한 기록이다.
영초언니는 서명숙에게 담배를 처음 소개해준 ‘나쁜 언니’였고, 이 사회의 모순에 눈뜨게 해준 ‘사회적 스승’이었고, 행동하는 양심이 어떤 것인가를 몸소 보여준 ‘지식인의 모델’ 이었다. 천영초는 당시 운동권의 상징적인 인물 중 하나였고 주위의 많은 사람들에게 ‘전태일’처럼 깊은 화인을 남긴 인물이었지만, 오늘날 그녀를 기억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지금, 영초언니는 불의의 사고로 말과 기억을 잃어버렸고, 시대는 그녀의 이름을 지워버렸다.
천영초와 서명숙, 두 여성의 젊은 날에는 박정희 유신정권 수립과 긴급조치 발동, 동일방직 노조 똥물 사건, 박정희 암살,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항쟁 등 현대사의 굵직한 사건들이 촘촘하게 맞물려 있다. 저자는 언론인 출신 특유의 집요하고도 유려한 글쓰기로 독재정권하 대학생들의 일상과 심리적 풍경을 섬세하게 복원해나가며, 한 여자가 어떻게 시대를 감당하고 몸을 갈아서 민주화에 헌신했는가를, 그리고 그 폭압적인 야만의 시대에 얼마나 수치스럽고 모욕적인 일을 겪었는가를, 그 결과 어떻게 망가져갔는가를 증언한다. 그 과정에서 나어린 여대생들에게 당대의 고문형사들이 가한 소름 끼치는 협박과 고문들, 긴급조치 9호 시대 여자 정치범들이 수감된 감옥 안의 풍경이 영화처럼 펼쳐진다.
프롤로그_ 바람이 몹시 불던 어떤 날 _05
1장_ ‘빨갱이섬’에 태어난 박정희 키드
하루 천 번 이름을 불러줘야 살 수 있는 아이 _19
‘서명숙상회’ 딸 서명숙 _22
국민교육헌장 암기왕 _24
박정희 대통령 각하, 축하드립니다! _25
변방 명문여고의 한밤 연좌농성 _28
연극배우냐 신문기자냐 _33
2장_ 내 인생에 뛰어든 ‘나쁜’ 언니
처음 듣는 ‘뉴스’ _39
외부검열보다 무서운 자기검열 _42
천영초 선배께 인사드려! _46
담배 없이 무슨 낙으로 사니? _48
나랑 같이 자취할래? _50
후배 바보 _52
그 여자의 내력 _54
당대 걸크러시들의 모임 ‘가라열’ _56
3장_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구로동의 ‘헬조선’ _63
내 방광도, 내 청춘도 터져나가고 _68
봄이 왔건만 나의 봄은 아니요 _71
박정희는 물러가라, 훌라훌라! _74
내복이라도 넣어주자고! _80
암호명 ‘백장미’ _83
4장_ 사람은 가고, 사랑은 오고
오해 _87
고대의 ‘잔 다르크’ 혜자언니 _89
친구를 프락치로 의심하던 날들 _95
바다 보러 가고 싶지 않아? _97
날 기다릴 수 있겠니? _101
눈물의 잉크 _104
오래, 아주 먼 데 _106
‘빵바라지’ _108
한국판 ‘백장미’ 사건의 전말 _111
비둘기 ‘날으는’ 교도소 _114
‘비겁해져야겠다!’ _115
작별 _119
개뿔 민족고대, 개나 주라지! _120
5장_ 지옥에서 보낸 한철
잠깐 서울 다녀오겠습니다 _129
국회의원 이름과 나란히 칠판에 쓰인 내 이름 석 자 _132
머리 처박아, 이 쌍년아! _134
사흘 밤낮을 뜬눈으로 작성한 ‘내 인생 이력서’ _137
듣기만 해도 살 떨리는 ‘산천초목’ 사건 _140
독 묻은 말화살 _144
나, 미국 CIA에서 훈련받은 고문기술자라고! _145
형사 ‘삼촌’ _152
후배 애인까지도 따먹는… _155
우리 어멍 영자씨 _158
1979년 5월 16일 아침 _160
재회 _163
6장_ 수인번호 4141
스물두 살, 참 좋을 때다! _171
동갑내기 과외선생, 옥주 _173
개털 중의 개털, 소녀 장발장들 _179
밤에만 보이는 편지 _180
너를 보듯 꽃을 본다 _183
교복 입고 면회 온 막냇동생 _186
목욕탕의 일급비밀 _188
안 믿으시겠지만 간통이에요! _191
‘국립대학’ 최고의 지압사 _194
그날 영초언니의 외침 _196
지옥 속의 천국 _199
진짜 빨갱이가 온다! _202
사법부가 역사의 죄인이다 _205
구치소의 비밀 우체부 _208
학교는 기다리지 않았다 _210
김재규 장군께서 그러셨다면… _211
나, 이제 돌아갈래! _215
236일, 출소는 도둑처럼 왔다 _217
7장_ 1980, 수상한 ‘서울의 봄’
오줌 못 싸는 병 _225
뭔가 이상하게 돌아가는 것 같지 않니? _229
그 짠한 아그들꺼정… _233
운명의 남자, 정문화 _236
절도범 ‘미라 엄마’ _240
노끈 인형 _243
8장_ 언니가, 웃었다
바람처럼 왔다가 바람처럼 사라진 그녀 _251
공포의 초인종 소리 _253
결별 _257
37킬로그램의 죽음 _263
이런 행복은 난생처음이야 _270
언니, 정말 미안해 _272
그녀는 정물화처럼 앉아 있었다 _274
에필로그_ 그뒤 빛나던 청춘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_277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