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자들은 토론하지 않는다
공교육의 핵심은 건강한 공동체 구성원을 길러내는 것이다. 수평적인 토론교육은 모든 교육의 기초이자 총화이다. 진정한 토론의 핵심은 토론에 임하는 모든 이들이 토론을 통해 자신의 애초 의견과 주장을 조금씩 수정할 여지가 있다는 점이다. 토론은 사람의 싸움이 아니라 논리의 싸움이다 상대를 공격한다면 상대의 논리를 공격하는 것이지 그 사람을 공격하는 것이 아니다. 토론은 사람을 적으로 여기고 비난함으로써가 아니라 사람을 존중하되 말과 논리의 문제를 짚어나가는 것이다. 내가 당신의 말에 동의하지 않을 지라도 난 당신의 말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목숨을 바치겠다.는 볼테르의 정신은 되돌아볼 가치가 있다. 상대에 대한 포용력이 있어야 한다.
사회의 성숙도를 가늠하는 잣대, 토론문화
‘빈부 격차 해소를 위한 세금 강화’, ‘중범죄자 피의자의 신상 공개’, ‘경제성장과 분배’, ‘군 대체복무제 허용 여부’, ‘북-미 핵문제와 평화통일’. TV 시사프로그램에서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이 해박한 이론과 적절한 사례를 근거로 자신의 주장이 타당함을 알리고, 때로는 자신과 의견이 다른 상대를 설득하고 공감을 이끌어낼 법한 이러한 주제들은 다름 아닌 서울과 부산에서 열린 청소년 토론대회의 논제들이다. 어른들에게도 결코 쉽지 않은 주제를 놓고 청소년들이 토론대회에서 논리적으로 자신의 의견을 표출한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의 성숙도가 한층 높아졌음을 느낄 수 있다.
현재 서울에는 초중고 독서토론 동아리가 300개에 이르며, 토론 동아리의 분야도 영어토론, 역사토론, 시사토론 등 다양하게 확대대고 있는 추세다. 2000년대 들어 우리 사회 소통의 문화를 바꾸어놓은 한일 월드컵, 촛불시위, 인터넷 포털 다음의 ‘아고라’ 등은 소통의 기본 전제인 참여와 존중을 바탕으로 토론문화를 꽃피웠고, 이것이 초중고 학생들에게까지 확장된 것이다.
≪강자들은 토론하지 않는다≫는 우리나라 토론문화의 한 획을 그은 노무현 대통령과 평검사들의 토론, 무명에 가까운 정치인을 미국 대통령으로 만들어준 버락 오바마의 토론과 연설 능력, 대선후보 초청 토론, TV 토론 프로그램, 중고등학생들의 토론대회 등 다양한 시공간에서 행해진 토론 모습을 통해 민주사회의 이정표로서 토론의 중요성과 가치를 살펴보았다.
저자 서문 : 노무현과 세월호 … 5
추천의 글 : 토론교육의 나침반이 되길 바라며 … 9
1. 박근혜 대통령 토론해요 … 15
질문과 토론, 애물단지인가 희망인가 … 15
토론을 사랑한 박근혜 … 19
박근혜가 진짜로 토론을 사랑한다면 … 24
2. 노무현 대통령과 평검사들의 토론 … 29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토론교과서 … 29
평가반성 토론은 ‘토론의 어머니’ … 35
3. 민주주의와 토론의 적들 - 영화 [변호인]을 중심으로 … 77
민주주의와 일베 … 77
토론은 민주주의의 꽃 … 82
인간의 존엄성과 불평등 … 87
예, 아니오의 이분법적 태도 강요 … 89
닫힌 결론과 아집 … 91
근거 없는 색깔론 … 93
국가주의 이데올로기 … 98
4. 강자들은 토론하지 않는다 … 104
노무현을 그리며 … 104
토론공화국과 노무현 … 106
2002년 월드컵과 2008년 올림픽 … 115
‘토론공화국’의 뿌리 2002년 한일 월드컵 … 117
토론에는 ‘금기’가 없어야 한다 … 119
‘토론의 성지’를 무너뜨린 2008년 베이징 올림픽 … 121
촛불과 화염병의 차이 … 123
살고 싶으면, 입을 다물라! … 125
미국의 수정헌법 제1조와 대한민국 헌법 제1조 … 127
5. 토론과 명박 산성 … 131
통하였느냐? … 133
소통이란 무엇인가 … 139
소통, 거칠게 통하다! … 142
대통령은 대통령大通領이다! … 148
6. 토론과 대통령 선거 -안철수, 문재인, 이정희, 박근혜 … 154
문재인과 안철수 … 154
박근혜의 국민면접 … 157
대선후보 초청 토론 1라운드 … 160
대선후보 초청 토론 시스템의 한계 … 164
7. 오바마와 토론리더십 … 166
2008년 미국은 오바마를 선택했다 … 166
토론은 주장의 싸움이 아니라 근거의 싸움 … 178
이정희는 왜 실패했나? … 180
오바마는 가슴으로 말한다 … 183
차이와 다름을 포용하는 긍정의 힘 … 184
8. 라쇼몽羅生門 - 우리 시대 토론문화의 현주소 … 188
위대한 사상의 문, 라쇼몽 … 188
진실은 결단하고 행동하는 것 … 200
9. 토론을 하는 자, 세계를 이끈다 … 204
최고의 리더십은 진정성 있는 소통 … 205
계몽에서 토론으로 … 209
10. 세월호와 노란테이블 - 원탁토론의 꽃 노란테이블을 만나고 … 211
행동하는 토론 … 211
현장이 답이다 … 213
가만히 있으라는 말 … 221
노란테이블의 의미 … 225
노란테이블 툴킷 … 227
노란테이블 실습 … 233
노란테이블의 특징과 의의 … 243
11. 토론, 민주주의의 거대한 뿌리 … 250
토론과 민주주의 … 250
수구, 잔치는 끝났다 … 254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258
토론문화와 민주주의 … 260
의지로 비관하되 토론으로 낙관하라 … 263
토론이라는 거대한 뿌리 … 267
부록 토론대회 참관기
1. 북-미 핵문제와 평화통일 - 제4회 전국청소년논술토론한마당 참관기 … 272
2. 끝날 때까지는 끝난 게 아니다 - 제2회 서울 고등학생 토론대회 예선 참관기 … 278
소통의 부재 … 279 | 차라리 상상력에게 권력을! … 282 | 패배는 나의 힘 … 286
3. 모든 것은 지나가느니라 - 제2회 서울 고등학생 토론대회 결선 참관기 … 293
젊은 지성과 열정, 냉철한 논리의 큰 마당 … 293 | 성장과 분배의 열기 … 295
피드백은 피가 흐르도록 아프게 … 299 | 위대한 토론자들 … 302
모든 것은 지나가느니라! … 305 | 토론이야말로 지, 덕, 체를 기르는 살아있는 교육 … 309
앵커바이블 누가복음 2
워낙 유명하고 또 유명한 학자들이 쓰는 주석서라 믿고 구입했다다소 학문적인 경향이 있어서 일반 성도들이나 가벼운 관심으로진보와 보수 진영의 날카로운 학문적 대립 상황에서 피츠마이어는 매우 복음적이고 성경 중심적인 해석을 제시함으로써, 하나님의 말씀을 최종 권위로 믿는 학자들에게 적지 않은 격려를 준다. 저자는 무엇보다도 본문 자체에만 집중하여 해석함으로써 오히려 진보적 견해를 반박하는 복음적 자세를 견지하고 있으며, 이런 맥락에서 한국의 독자들로 하여금
gsdfer.tistory.com
My First Grammar : 3 Work Book
본책으로 문법 개념을 학습하고, 이 위크북으로는 과제로 활용하기에 좋습니다. 본 책에서는 문법용어들이 영어로 설명되어있는데 워크북에서는 한글로 다시 설명되어 있습니다. 혼자 생각하고 정리하면서 풀어볼 때 도움이 됩니다~ 각 유닛마다 기본 문제, 약간의 심화문제, 누적된 복습문제들로 구성되어서 아이들이 모르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편집, 일러스트 모두 가독성도 좋고 편안합니다.학생과 교사 모두에게 최적화된 레슨 구성간결하고 명확한 문법 제시나선형
lsad.tistory.com